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0

디자인 지각(Perception) 기억을 위한 인지(Cognition)의 가장 기본적인 프로세스는 지각의 과정으로 우리가 보는 것, 듣는 것, 냄새를 맡는 것, 맛보는 것, 그리고 느껴지거나 만지는 촉감 등을 말한다. 따라서 공통적으로 이러한 지각에 따른 대상의 속성을 받아들이는 대뇌의 작용을 일컫는 용어이다. 그리고 인간은 이 같은 감각 기관에 의해서 무엇인가를 경험했을때 그 경험을 지각(Perception)이라고 한다. 지각(Perception)의 과정은 감각 기관에 의해 기본적 지각(Basic Perception)으로서 단순지각(Simple Perception)과 복합지각(Complex Perception), 소속된 본질(Attached Entities)로 나누어진다. 단순지각은 시지각 형태(Visual Form), 색채(Colou.. 2020. 1. 3.
시각적 형태 심리 형태는 시각이 느끼는 감각 중에서 본질적인 특징의 하나로 이 같은 특징을 시각이 인식하는데 최초로 필요한 조형상의 조건은 사물과 사물을 구별하는 인식의 경계이다. 3차원의 물체는 2차원의 표면에서 경계를 이루고, 2차원의 표면은 1차원에서 경계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인간이 행위로 발생되는 조형활동은 3차원의 세계를 2차원의 평면에 표현하고 나타내는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시각디자인 분야는 이 영역에 존재한다. 그러므로 시각적으로 고려해 볼 때 동일한 내용이라도 그 표현되는 내용의 경계를 어떻게 정하는냐에 따라 심리적 효과는 다르게 나타난다. 형태 지각의 현상은 모든 사람들에게 있어서 동일하게 일어나는 것은 아니며 인간의 지능이란 문화적 경계라는 말이 있듯이 문화의 내용에 따라 형태 .. 2020. 1. 3.
타이포그래피(Typography) 타이포그래피(Typography)란 글자의 활자 및 조판에 디자인 작업에서의 원칙을 적용하여 서체를 선정하고 글자를 이용하여 디자인 하는 것으로서 문자 구성 기술 또는 활판 인쇄술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이포그래피는 그래픽디자인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어 왔으며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의 발전에 따라 그 영역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타이포그래피는 현재 디자인의 한 분야로 자리매김 했으며 동시에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훌륭한 타이포그래피는 정보와 영감, 의식과 무의식, 어제와 오늘, 현실과 환상, 일과 놀이, 공예와 예술의 융합이다."라는 폴 랜드(Paul Land)의 말에서 볼 수 있듯이 타이포그래피는 정보 전달적인 기능이 우선이기 때문에 먼저 가독성이 중요하며 또한 조형성.. 2020. 1. 2.
레이아웃과 그리드 레이아웃(Lay-out) 레이아웃(Lay-out)은 텍스트, 이미지, 타이포그래피 등 여러 가지 시각적 디자인 요소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시각디자인 제작물이 완성되는 것을 말한다. 시각디자인 작업에 있어서 레이아웃은 창의적이고 독특한 아이디어와 형태를 종합하여 여러 디자인 요소들의 효과와 작용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문자와 이미지 등을 다양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주어진 면을 구성하는 행위 또는 배치, 구성, 구도 등을 의미하는 말로서 편집디자인에 있어 특별한 시각적 유도나 형태의 원리, 문자와 타이포그래피의 가독성 등 여러 가지 목적을 포함하는 것으로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레이아웃의 작업에 대하여 알렌 허버트(Allen Hurburt)는 "레이아웃을 통한 성공적인 디자인은 타고난.. 2020. 1. 2.
그래픽 디자인과 컴퓨터 그래픽 그래픽 디자인 인쇄기술에 의해 복제되고 양산되는, 주로 선전을 위한 매체의 시각적 디자인을 말하는 것으로, 소위 상업적 목적을 위한 디자인으로서 평면적 조형 요소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스터, 신문-잡지 광고, 책 표지, 일러스트레이션, 지도, 통계 다이어그램 뿐만 아니라 포장디자인, SP(selling point advertisement)광고 등의 범주까지 포함한다. 그래픽의 어원은 그리이스어인 그라피코스(Graphikos)로 원뜻은 '쓰다'이며 '도식화(圖式化)한다'라는 의미를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평면상(회화/도안/인쇄 등)에 조형을 표현하고 나타내는 기술을 그래픽 아트(Graphic Art)라고 총칭하며 시각적 조형 및 창작 활동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픽 아트에서.. 2019. 12. 31.
디자인을 위한 심리학 고찰 인간을 둘러싼 환경과 기술, 여러 가지 변화 등은 처음부터 인간을 향하지 않는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마지막 지향점은 언제나 인간을 향하고, 인간을 위해 존재한다는 것, 그리고 디자인은 이 모든 것을 연결하고 결합하는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물질은 용도에 맞게 본질이 변화할 수 있지만 인간이 갖고 있는 심리적 본질은 성장 배경과 환경에 따라 다를 뿐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디자이너가 행위를 통해 생산하고 사용자에게 수용시키고, 이해시킨다는 것은 단순히 조형적 표현을 넘어 인문학적(심리학적) 소양이 요구되는 것이며 시대적 환경에 끊임없이 대처하고 선도하기 위해서는 디자이너들도 끊임없는 변화를 해야 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디자인은 삶을 영위하고 있는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범.. 2019. 12. 30.
울릉군 공동브랜드&패키지 개발 2 최종 5개 네이밍 후보 안과 그에 따른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개발하여 1차 공동브랜드를 울릉군에 제안하였으며 그 중에서 2개 후보 안을 선정하고 수정, 보완 하기로 하였다. 울릉군 농특산물 공동브랜드 후보 안 5개는 다음과 같다. 1.울릉에 찬 어원: 울릉(지역명)+에(격조사)+찬(가득찬/반찬/예찬)으로 '울릉에'까지는 보통 명사지만 '찬'에 '가득한, 상에 올려지는 반찬, 칭찬하는 예찬' 등 여러 의미를 내포하여 울릉군이 갖고 있는 장점을 네이밍에 융합하였으며 언어권은 한자의 의미와 국문을 혼용해서 개발된 네이밍이다. 아이덴티티: 상징과 로고타입형이 결합된 아이덴티티 디자인으로 전체를 감싸고 있는 원은 '울릉군'의 초성인 'ㅇ'을 모티브로 그래픽화 하였으며 'ㅇ'안에 블루 계열 색상은 울릉군의 청정한 동.. 2019. 12. 27.
울릉군 공동브랜드&패키지 개발 1 2012년 울릉군 농특산물 공동브랜드와 패키지 디자인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했던 내용을 통해 개발 과정이 어떤 방법과 방식으로 진행되어 하나의 브랜드가 탄생하는지 정리하고자 한다. 첫 출장으로 울릉군(울릉도)를 가는 것은 처음이라 기대와 걱정이 교차했던 기억이 새롭게 난다. '기대'라 함은 평생 한번 갈까 말까한 울릉도를 출장이라는 핑계로 프로젝트 기간 내 최소 5번 정도는 간다는 것, '걱정'은 울릉도에 가려면 반드시 배를 타야하며 기상 상태에 따라 3시간 30분~4시간 정도 장시간 가는 탓에 멀미에 대한 부분과 지역 특수성에 따른 프로젝트의 책임감이 컸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울릉군 담당 실무자의 적극적인 협조와 도움으로 무사히 프로젝트를 마칠 수 있었으며 동시에 울릉군(울릉도)에 대해 자세히 알게.. 2019. 12. 26.
시각 조형의 원리 고대 이집트 및 그리스 시대를 거쳐 르네상스에 이르기까지 제시된 수많은 미적 형식 원리는 근대 미학자들에 의해 대략적인 정리를 이루었다. 원래 미학의 개념이지만 많은 예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원리로는 조화, 비례, 균형, 리듬(율동) 등이 있으며 아직까지 이러한 원리들에 대해 연구자들 간에 통일된 견해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는 한 개의 원리 안에 다른 원리들이 내포되어 존재할 수도 있다. 즉, '대칭'과 '비례'라는 원리는 그 안에 '균형'이라는 또 다른 원리를 구성하는 요소가 존재하는 것이다. 또한 원리 중에서 모든 대상에 적용되는 것도 있지만 특정 대상에만 적용되는 것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시각적인 대상에 대해 조형적인 관점에서 적용되는 구성 원리들을 이해하고자 하며 동시에 이들 원리 사이에 존재하.. 2019. 12. 24.